정책 경제

중위소득 뜻, 계산법, 기준 알아보기

커피차 부르릉푸드트럭 2023. 2. 24. 20:19
반응형

중위소득은 대체 몇 프로인건가? 하는 생각 해보신 적 있는지요? 저는 가끔 중위소득이 몇 프로인지, 상위 몇프로가 되어야 중위소득인가 하는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렇기에 오늘은 중위소득의 %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중위소득 뜻

중위소득은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국민으로 모든 소득을 순위로 매겨 나온 것을 의미합니다. 정확한 명칭으로는 기준 중위소득이라고 부르는데요.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급여의 기준을 활용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를 개최하여 고시합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 등의 12개 부처에서 운영하는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로 77개의 복지사업에 기준이 되기에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생활비를 지원하는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 30% 이하 가구에만 지급되는데, 기준에 조금 모자라 못 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변경되는 기준에 따라 복지사업에서 받을 수 있는 생활비, 생계급여도 다릅니다.

 

2022년을 기준으로 4인 가구에는 512만 원 1080원으로 결정되었으며, 2021년은 487만 65600원이었습니다. 1년여 만에 5.02% 오른 금액입니다. 이 같은 인상폭은 상대적 빈곤을 적용해 기준 중위소득을 복지정책의 기준으로 삼기로 한 2015년 이후 가장 폭이 높았습니다.

 

2016년 기준은 4% 인상을 했으며, 2017~2018년은 1%대로 현저히 낮았습니다. 그리고 2019년은 2.09%, 2020년은 2.94%, 2021년은 2.68%입니다. 올해 2023년은 540. 만원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기준 추이

위의 사진은 기준 중위소득의 추이입니다. 중위소득 100%를 기준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2023년을 기준으로 1인 가구부터 6인 가구까지 나와있습니다.

중위소득 계산법

중위소득 기준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내가 해당하는 가구수의 중위소득 X 계산하고 싶은 % 넣어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4인가구 540만 원 X 70%를 해주시면 값이 나옵니다. 중산층의 가구 비중을 고려할 때 중위소득은 50% 미만은 빈곤층이라고 하며, 50%~150% 중산층이며, 150%를 넘으면 상류층이라고 부릅니다.

 

 

 

 

구독, 댓글, 공감은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