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농식품바우처 지역 및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물가가 많이 오르면서 식당에서 밥 먹는 부담비용이 상당히 많이 올랐습니다. 그렇기에 웬만하면 집에서 먹는 일이 많아졌다고 하는데요. 일반 식자재물가도 많이 올라 부담스럽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청약고추 한 묶음의 경우 7천 원이 넘는 경우도 봤습니다. 대략 20개 정도밖에 안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만, 그만큼 물가가 많이 올랐다는 점이죠.
그렇기에 매년 진행해오던 2023년 농식품바우처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농식품바우처의 경우 소득불평등과 고령화로 취약계층이 확대되고 건강 위협이 심해진 요즘 향후에 무언가 식자재등을 구입하는 비용도 힘든 분들을 위해서 농식품바우처를 제공한다는 내용인데요.
농식품바우처로 저소득층, 차상위계층, 기초생활수급자를 대상으로 농식품, 과일, 채소 등을 구입할 수 있는 상품권, 전자카드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지원금액은 조금씩 다릅니다.
농식품바우처 지원금
1인가구를 기준으로 4만원을 지원하며, 2인가구 5만 7천 원, 3인가구 6만 9천 원, 4인가구 8만 원, 5인가구 89,000원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농식품바우처의 경우 매월 1일 들어오며 가족 수에 따라 지원금액이 달라집니다. 한 달 안에 사용을 못하면 이월이 되지 않으니 매달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원품목의 경우 국내산 채소, 흰우유, 계란, 육류, 잡곡, 꿀, 두부 등등 구입이 가능합니다.
지원대상은 위에서 언급했듯,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입니다.
농식품바우처의 경우 전국에서 진행하는것이 아닌 시범지역 18 지역구에서 진행합니다. 부산진구, 옹진군, 달성군, 평창군, 화천군, 괴산군, 청양군, 충주시, 당진시, 고창군, 김제시, 해남군 등등입니다.
농식품바우처 신청 방법은 신청은 23년 11월 30일까지 가능하며, 지원대상자는 가까운 읍, 면, 동사묵소를 방문하셔서 신청하시면 되겠습니다. 신청 방법은 농식품바우처 홈페이지를 방문하셔야 합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법 둘 중 한 군데서만 신청하시면 됩니다.
사용방법은 본인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농협하나로마트, 로컬푸드, 농식품바우처 카드로 결제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온라인으로 사용한다면, 농협몰에서 사용가능하고, 꾸러미 신청을 통해서 배송받을 수 있습니다.
구독, 댓글 감사합니다.
통장없이 입금하는 방법, ATM통장 포함 알아보기 (2) | 2023.03.08 |
---|---|
자동차탄소포인트 신청방법 및 제도 알아보기 (0) | 2023.03.07 |
청년월세한시지원 지원대상, 신청방법 (1) | 2023.03.05 |
학원, 학교 실내마스크 해제 빠르게 알아보기 (4) | 2023.03.04 |
부산 기장군 재난지원금 3차 대상, 신청 방법은? (3) | 2023.03.03 |